반응형 자산배분3 나만의 올바른 투자 원칙 세우기 나 스스로 올바른 투자원칙을 정립하고 바르게 살아가기 위한 글 : 돈은 중요하다. 그러나 돈보다 중요한 것이 더 많다 원칙 1 : 허황된 욕심을 버린다 남이 부러워서, 돈을 무조건 많이 벌어야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이런 생각은 대부분의 돈을 잃게 한다. 애초에 '1억으로 수십억을 불린 이름도 모르는 개인투자자'가 나는 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그 유명한 투자자, 워런버핏도 연평균수익률은 20% 수준이다. 원칙 2 : 투자를 하는 목표와 이유를 생각하고 되새긴다(어떤 시장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도록) 큰 돈을 벌고 빠르게 퇴직을 하는게 누구에게나 보편타당한 목표는 아니다. 직업을 통해 자아실현을 이루고 조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도 존중받는 가치다. 나는 투자를 하는 이유가 은퇴인가, 직장에서 돈.. 2022. 1. 10. 연금저축 펀드 운용하기 : 납입 후 자산 배분하기 '지난번 은퇴설계를 위한 기본: 연금저축펀드와 IRP 이해하기' 를 쓴 후, 연금저축펀드 운용을 위해 이어 쓰는 글입니다. 은퇴설계를 위한 기본 : 연금저축펀드와 IRP 이해하기(update~) 목차 1. 들어가며 2. IRP, 연금저축펀드를 해야하는 이유(공통점) 3. IRP와 연금저축펀드의 차이점 4. 주의해야할 점(가입 전 고민하기) 5. IRP와 연금저축펀드 둘 중 하나를 가입해야 한다면? 1. 들어 moneytree48.tistory.com 나는 작년부터 매년 400만 원만 '연금저축펀드'에 납입하고, 다양한 자산군의 ETF를 매수하는 자산배분 방식으로, 연금계좌를 운용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다. 어떤 '자산배분'방법이든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어.. 2022. 1. 4. 퀀트투자에 입문하다(퀀트투자 알아보기) 서론: 2년간 주식시장에서 느낀 것 2020년 1월경이었나. 어느날 문득 컴퓨터 화면으로 급여명세서를 보고 있는데, 이런 연봉으로는 서울에서 평범하게 살기조차 어렵다고 느꼈다. 그 이전까지 주식 투자는 생각도 안하고 살았다. ‘주식하면 패가망신한다’, ‘주식에서 돈버는사람은 극소수다’와 같은 소리를 많이 듣고 살았기 때문에, 그게 머릿속에 강하게 남아 있었나보다. 그러나 자본소득 없이 ‘노를 아무리 저어도 뒤로 갈 수밖에 없겠다’라는 생각이 들자, 빨리 시작해야겠다는 조급증이 왔다. 그렇게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채 20년 1월 처음 주식을 사봤다. 타이밍 참 묘하게 바로 코로나가 왔고 이후에는 ‘이 장에서 돈 2배 못 벌면 병신’이란 소리까지 듣는 유동성 장세가 지속되었다. 나는 물론 병신 중에 상병신이.. 2021. 12. 27. 이전 1 다음 반응형